안녕하세요,오늘은 많은 분들이 아파트 입주, 전세자금, 주택담보대출 등에서 꼭 마주하게 되는 상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.
대출을 받으면 원금을 언제, 어떻게 갚느냐에 따라 매달 부담이 크게 달라집니다.
대표적인 방식은 원리금균등상환과 원금균등상환 두 가지인데요, 이름은 비슷해도 구조와 장단점이 확연히 다릅니다.

🔹 1. 원리금균등상환이란?
원금 + 이자 = 매달 같은 금액으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.
• 대출 초반에는 이자 비중이 크고, 시간이 갈수록 원금 상환 비중이 늘어납니다.
• 하지만 매달 납입액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가계 지출을 예측하고 관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👉 예를 들어 1억 원을 20년간 원리금균등상환으로 빌리면, 매달 약 ○○만 원을 꾸준히 내는 식입니다.
✔️ 장점 : 매달 상환 금액이 일정 → 가계부담이 안정적
✔️ 단점 : 총 납부 이자가 더 많음 (원금 상환이 늦게 진행되기 때문)
🔹 2. 원금균등상환이란?
원금을 매달 동일하게 나누어 갚고, 여기에 이자를 더하는 방식입니다.
• 매달 상환하는 원금은 일정하지만, 이자는 남은 원금에 따라 점점 줄어듭니다.
• 그래서 초반에는 납입액이 크지만, 시간이 갈수록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
👉 예를 들어 1억 원을 20년간 원금균등상환으로 빌리면, 첫 달에는 약 ○○만 원을 내다가, 시간이 지날수록 상환액이 점점 줄어듭니다.
✔️ 장점 : 총 납부 이자가 원리금균등보다 적음
✔️ 단점 : 초반 상환 부담이 크다

🔹 4.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?
• 매달 일정한 지출 관리가 중요한 분 → 원리금균등상환
• 총 이자 부담을 줄이고 싶고, 초반 상환 여력이 있는 분 → 원금균등상환
즉,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한다면 원리금균등상환,
장기적으로 이자 절약을 원한다면 원금균등상환이 더 유리합니다.
⸻
✅ 정리
대출은 단순히 금리만 보는 게 아니라, 상환 방식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총 부담이 크게 달라집니다.
상황에 맞는 방식을 선택해 현명하게 재정 계획을 세워보세요 🙂
'알찬 정보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📘 [사회 이슈] 교실 내 휴대폰 사용 금지 법안 제정 — 학생 생활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? (0) | 2025.10.05 |
---|---|
🇰🇷 부산을 사랑한 미국 장군, 리차드 위트컴 장군 이야기 (0) | 2025.09.29 |
핀란드 사우나 문화 완벽 가이드(정말 남녀가 같이들어가??) (0) | 2025.09.29 |
텍사스 역사와 텍사스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 (0) | 2025.09.21 |
[혈압주의]거제도 해병대 비비탄 난사 사건 — 사건 개요 및 쟁점 (1) | 2025.09.13 |